이탈리아 국가봉쇄?!.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대비 총력전.
이탈리아 국가봉쇄라는 최후의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초기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이 전세계 이목을 집중시킬 당시, 중국은 우한시를 봉쇄하며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저지하기 위한 총력적인 방법을 동원한 바 있습니다. 더불어, 대한민국의 코로나 바이러서 확산이 급증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해당 지역이었던 대구 경북 지역에 대한 봉쇄 조치를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경우 특정 지역에 대한 봉쇄 정책이었는데요. 반면, 오늘 3월 10일 들려온 소식인 이탈리아 국가봉쇄는 나라에 대한 전면적인 이동제한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2월 18일 대구지역 31번째 코로나 확진자가 등장하면서, 대한민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우려는 현실이 되었습니다. 2월 19일 부터 매일 신규 코로나 확진자의 증가 수는 하늘 높은지 모르고 높이 치솟아 올랐고, 그로 인해 전 국민은 공포와 불안으로, 연일 들려오는 뉴스 속보에 귀를 기울이며 외출을 자제하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지요. 국내로는 코로나 확진자를 찾아내고, 코로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며, 국외로는 외교적 정책을 펼치고 있었습니다. 한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세계 각국은 한국인의 입국금지 및 제한 조치를 시행했기에 말이죠. 현재 대한민국의 코로나 확산세는 많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인데, 반면 세계 곳곳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확산세를 보일때 부터 공격적인 대처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초기부터 중국인 입국제한 및 입국금지 조치를 시행하고 있었으며, 더불어, 한국에 대한 입국금지 및 입국제한 조치도 시행하며, 외부로 부터 가져올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염가능성을 차단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지요.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탈리아의 코로나 확산세는 갑작스럽게 폭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결국 이탈리아 국가봉쇄라는 최후의 카드를 꺼냈다는 느낌이 강한데요. 물론, 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환자 발생 500명 이상 국가 지난 1주간 발생 동향
|
3.4일 |
3.5일 |
3.6일 |
3.7일 |
3.8일 |
3.9일 |
3.10일 |
누적 사망자수 |
중국 |
80,270명 |
80,409명 |
80,552명 |
80,651명 |
80,695명 |
80,725명 |
80,754명 |
(3,136명) |
이탈리아 |
2,263명 |
3,087명 |
3,858명 |
4,636명 |
5,883명 |
7,375명 |
9,172명 |
(463명) |
이란 |
2,336명 |
2,922명 |
3,513명 |
4,747명 |
5,823명 |
6,566명 |
7,161명 |
(237명) |
프랑스 |
212명 |
212명 |
377명 |
613명 |
949명 |
1,126명 |
1,191명 |
(21명) |
독일 |
196명 |
240명 |
400명 |
639명 |
795명 |
847명 |
1,139명 |
(2명) |
스페인 |
114명 |
151명 |
200명 |
374명 |
374명 |
589명 |
1,024명 |
(16명) |
미국 |
108명 |
142명 |
158명 |
213명 |
436명 |
537명 |
605명 |
(22명) |
일본 |
284명 |
317명 |
349명 |
408명 |
455명 |
488명 |
514명 |
(9명) |
총 국가 수 |
75개국 |
79개국 |
83개국 |
87개국 |
91개국 |
96개국 |
99개국 |
|
총 환자 수 |
87,389명 |
89,258명 |
91,429명 |
94,978명 |
98,396명 |
101,780명 |
105,687명 |
|
총 사망자 수 |
3,170명 |
3,246명 |
3,339명 |
3,436명 |
3,541명 |
3,758명 |
3,939명 |
(3월 10일 0시 기준 자료, 출처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탈리아와 이란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는 상당히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경우 3월 10일 0시 기준 자료로 9172명으로 약 1만명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가 나타났는데요. 2012년 기준 이탈리아 인구수는 61,261,254명이라고 합니다. 8년이 지난 현재는 약 6046만명이며, 우리 한국의 경우 약 5178만명으로 비슷한 인구수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는 현재 이탈리아가 더욱 심화되고 있어 보입니다. 누적 코로나 확진자 수도 놀랍지만, 그 코로나 확진자의 증가 폭 또한 너무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시겠습니다.
이탈리아의 누적 코로나 확진자 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3월 첫째주에 약 2천명이었던 코로나 확진자가 오늘 3월 10일 9172명으로 1만명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추세로 본다면 곧 1만명, 그 이상의 확진자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전문가가 아니라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이탈리아의 일별 확진자수 증감 변화 그래프입니다. 한국의 일별 코로나 확진자 증감의 최고치는 약 900명이었습니다. 이탈리아의 경우, 3월 7일까지 1000명 이하의 코로나 신규 코로나 확진잔가 나타났지만, 3월 8일 부터 급격하기 시작하여 신규 코로나 확진자는 1000명을 넘어서면서 오늘인 3월 10일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즉, 코로나 바이러스가 너무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탈리아에서는 국가봉쇄라는 카드를 꺼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에 대한 총력적인 대책을 펼치려는게 아닐까요.
또한, 이탈리아의 이런 무서운 코로나 확산세는 주변국에도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이탈리아는 유럽연합(EU)으로 유럽 국가들의 연합을 의미하는 연합의 회원국입니다. 이 유럽연합의 회원국은 벨기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아일랜드 등 28개국이라고 합니다. 지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모두 그 주변국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죠. 다시금 생각해 보면, 우리나라의 도가 연합국가들 사이의 국가라 생각해 보면 될 것 같네요. 물론, 국가에 귀속된 도와 유럽연합의 회원국으로 탈퇴할 수도 있는 국가라는 차이는 있습니다. 이탈리아가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이탈리아의 코로나 확산세와 더불어 주변국인 프랑스, 독일, 스페인등의 나라도 점차 코로나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한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지역전파 확산세를 경험한 세계 각 나라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보다 높은 경각심을 가지고 대처하고 있었으리라 생각되지만, 한번 확산세를 타버린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파는 쉽사리 잡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아직, 정확한 정보는 없지만, 중국의 우한, 대한민국의 신천지 집단 등의 특정 감염경로 및 감염원에 대한 정보가 대규모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시작점이 될 수 있으란 생각이 드는데요. 현재 이탈리아의 급격히 빠른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세는 그 원인이 무엇일까요. 아마도, 지금부터 국경을 봉쇄하고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여 그 원인과 대책을 강구하려 하는게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탈리아 국가봉쇄, 즉 자국내의 유동인구 및 외국과의 교류를 차단한다는 어찌보면, 전염병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염되는 병인 만큼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최소화 한다면 그만큼 바이러스의 전파 확률은 낮아질 것이니 말이죠. 하지만, 자국내의 모든 경제가 자급자족할 수 있는 나라는 현재 거의 없다고 생각하며, 이탈리아 국가봉쇄는 결국, 빠른 시간안에 코로나 확산세를 잡아내지 못하면 이탈리아 경제에 큰 타격을 안겨줄 수도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결국, 중국, 한국, 이란, 이탈리아 그리고 계속 나타나는 세계 곳곳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은 전세계 대유행인 팬데믹 선포를 가져올 것이며, 그로인한 전세계는 경제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 뻔하지요. 현재도 계속적으로 경제에 대한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뉴욕증시의 하락등의 소식은 결국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이 장기화 되었을 때,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안겨줄 것을 시사하는 것이 아닐까요.
2020/02/29 - [이슈 바라보기] - 팬데믹(Pandemic, 판데믹) 뜻, 내용. 팬데믹 선포에 따른 영향.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한 내용이라고 생각하시면, 하단의 "공감.💖",을 부탁드려요.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이슈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팬데믹 우려. 팬데믹이 우려되는 전세계 상황 정리. (2) | 2020.03.11 |
---|---|
콜센터 집단감염, 소규모 집단감염 우려가 현실로?!. (0) | 2020.03.10 |
코로나19 현황.(3월 9일 0시 기준). 코로나 확진자 수 변화 추이 및 코로나 소식. 코로나19 50일, 무엇이 달라졌나?! . (0) | 2020.03.09 |
코로나19 50일. 현 상황 정리. (0) | 2020.03.09 |
웰킵스 마스크 알바생 논란 정리, 버려지는 마스크 1만장. (0) | 2020.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