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바라보기

코로나19 현황.(3월 19일 0시 기준). 코로나 확진자 수 변화 추이 및 코로나 소식. 코로나 전파양상 변화?!, 전 세계의 전세기 투입?!.

by 세이대 2020. 3. 19.

코로나19 현황.(3월 19일 0시 기준). 코로나 확진자 수 변화 추이 및 코로나 소식. 코로나 전파양상 변화?!.

코로나19 현황은 변화무쌍하다는 느낌을 받는 소식들이 추가로 들려왔습니다. 최근 며칠간 보여준 국내 코로나19 현황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다시금 이틀간의 코로나 바이러스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기존에 우려되던 특정 집단과의 연결고리로 인한 코로나 확진자 증가 모습과는 사뭇다른 모습을 보여 더 큰 우려점을 낳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현황. 출처 pixabay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세가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전 세계 각국이 겪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은 날로 심각해져가는 모습을 보여 많은 사람들이 불안에 떨고있는 실정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 세계 대규모 확산인 팬데믹 상황은 우리에게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생각이 드네요. 금융시장의 연일 붕괴되는 모습, 그로인해 오르는 환율, 환율이 오름에 따른 국가 경제의 부담감 상승,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어려움, 일반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어려움등 이런 추세로 장기화 되어가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는 지금보다 더 큰 어려움을 가져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코로나19 현황. 출처 pixabay

하지만, 우선은 사람이 살고 난 후 경제발전도 의미 있는 것이기에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노력 더욱 열심히 하고 있는데, 그 이후 경제부양책이 작동되지 않는다면 코로나 바이러스로 쌓여있는 피로감과 스트레스틑 더욱 심하게 느껴질 것 같습니다. 하루 빨리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를 잠재울 수 있도록 조금만 더 힘내야 하겠지만, 역시나, '나는 괜찮아'라는 생각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이어지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코로나19 현황. 출처 pixabay

소규모 집단감염에 대한 우려는 계속되는 가운데, 다시금 대구의 요양병원에서 집단으로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안타까운 소식과 아직은 조사중인 것으로 밝혀진 17세 청소년의 안타까운 죽음, 만약 이 A군의 조사 결과 코로나 양성이라는 결과를 낳게된다면, 국내 첫 십대 환자의 사망 사례가 되는 것이며 이는 또 한 번의 개학연기라는 형태의 조치를 생각해 봐야하지도 모릅니다. 더욱이, 기저질환이 없었다고 하는데, 조금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과 하루 이틀 사이 많은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우선은 2020년 3월 19일 코로나19 현황을 살펴본 후 다시금 코로나19에 관련된 소식들을 간략히 살펴볼게요.


▶3월 19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현황◀

출처 pixabay

코로나19 현황
확진환자

8565명

(3월 18일 8413명) +152명

확진환자 격리해제

1947명

(3월 18일 1540명) +407명

사망자

91명

(3월 18일 84명) +7명

(2020년 3월 19일 자료, 출처 질병관리본부)

2020년 3월 19일 0시 기준 코로나19 현황, 질병관리본부의 공식 자료를 보면 연일 신규코로나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최근 보였던 코로나 확산의 감소세에 대한 아쉬움이 더욱 크게 느껴지는 부분이 아닐 수 없는데요. 국내 코로나 바이러스 상승세는 변화된 코로나 전파양상과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간략하게 살펴보면,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양상은 1차로, 중국 우한에서 부터 국내로의 유입에 대한 전파양상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2차로 2월 18일 31번째 코로나 환자 발생과 맞물려 특정 단체로 부터 시작된 슈퍼전파로 인해, 대구 경북에서 부터 전국으로 확산되는 코로나 전파양상을 보이고 있었지요. 지금까지는 그랬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로 퍼져나간 코로나 바이러스로, 국내는 핵심 지역이 대구 경북에서 수도권지역으로, 더불어 국내 입국자들에 의한 전파양상을 띄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3월 19일 국내 코로나19 현황으로 신규 코로나 확진자가 증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3월 19일 0시 기준 누적 코로나 확진자는 8565명으로 어제인 3월 18일 누적 코로나 확진자 8413명에서 +152명의 신규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3월 18일 0시 기준 +93명이었는데 반해 59명이 더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신규 코로나 확진자는 이틀 동안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가운 소식도 있습니다. 완치판정을 받은 사람들의 수가 많이 늘었다는 것인데요. 3월 19일 0시 기준 누적 격리해제 사람들의 수는 1947명이며, 어제인 3월 18일 누적 격리해제 사람들 수는 1540명에서 +407명의 신규 격리해제 사람로 지금까지 중 가장 많은 신규 완치판정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 사망자에 대한 소식은 발생 자체가 안타까운 소식일 수 밖에 없는데요. 3월 19일 누적 코로나 사망자 수는 91명으로 어제 대비 +7명이 증가하면서, 사망자 발생 추이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안타까운 모습입니다.

구분

총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3. 18.()

0시 기준

295,647

8,413

1,540

6,789

84

16,346

270,888

3. 19.()

0시 기준

307,024

8,565

1,947

6,527

91

15,904

282,555

변동

+11,377

+152

+407

-262

+7

-442

+11,667

(2020년 3월 19일 자료, 출처 질병관리본부)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격리중

6,527

224

48

4,794

26

10

18

27

41

228

20

28

87

5

2

894

57

2

16

격리해제

1,947

58

58

1,382

6

7

4

9

0

64

9

5

31

5

3

275

29

2

0

사망

91

0

1

65

0

0

0

0

0

3

1

0

0

0

0

21

0

0

0

합계*

 

(전일대비)

8,565

282

107

6,241

32

17

22

36

41

295

30

33

118

10

5

1,190

86

4

16

(152)

(12)

-

(97)

-

-

-

(6)

-

(18)

-

(1)

-

(1)

-

(12)

-

-

(5)

(2020년 3월 19일 자료, 출처 질병관리본부)

2020년 3월 19일 국내 코로나19 현황은 국내 총 누적 코로나 확진자가 증가했듯이 지역별로도 증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나 2월 18일 이후 부터 모든 역량을 동원하고 있는 대구 경북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저지가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느껴지던 요즘이었는데요. 다시금 신규 코로나 확진자가 증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월 19일 0시 기준 대구 지방의 경우 신규 코로나 확진자는 +97명이 증가해, 누적 코로나 확진자는 6241명이 되었습니다. 경북지방의 경우 3월 19일 0시 기준 +12명의 신규 코로나 확진자 발생으로 총 누적 코로나 확진자는 119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소규모 집단감염 사례들이 속속 알려지면서, 새로운 우려가 사실이 되지 않기를 바래봅니다. 다른 지역으로 울산이 +6명 증가해 우려되는 부분이며, 서울 경기를 제외한 다른 지역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네요. 서울과 경기 지방, 즉 수도권의 코로나 확진자 발생은 증가 감소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이며, 집단감염 소식들과 맞물리는 것 같습니다. 서울지방의 경우 3월 19일 0시 기준 +12명의 신규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해 총 누적 282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경기 지방의 경우 +18명 증가해 총 누적 295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월 18일 부터 3월 19일 까지 코로나 확진자 변화 그래프
3월 1일 부터 3월 19일 까지 코로나 확진자 변화 그래프
2월 18일 부터 3월 19일 까지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감 변화 추이 그래프
2월 18일 부터 3월 19일 까지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감 변화 추이 그래프

그래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3월에 들어오면서 코로나19의 확산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반면 3월 16일부터 소폭 상승하던 신규 코로나 확진자의 발생은 3월 19일에 와서 꽤 증가한 모습을 보이며, 3월 16일 부터는 상승세의 흐름을 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 시기에 주로 들려온 소식이 '소규모 집단감염'에 대한 소식입니다. 수도권의 종교 행사에서의 집단 감염과 요양병원, 콜센터등의 집단감염 사례가 나타나면서 상승세를 보이는게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3월 1일 부터 3월 19일까지 신규 코로나 확진자 변화 및 신규 격리해제 수 변화 추이 그래프.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변화 및 신규 격리해제 환자의 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역시나 많은 사람들이 완치판정을 받으면서 전체적인 완치판정은 계속적으로 증가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완치판정 추이가 신규 확진자 추이를 넘어서고 있지만, 신규 코로나 확진자의 증가세는 우려되는 모습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세계 코로나 현황, 환자 3000명 이상 발생 국가의 지난 1주일 변화.◀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누적

사망자수

중국**

80,801

80,824

80,844

80,860

80,881

80,894

-

(3,237)

이탈리아

15,113

17,660

21,157

24,747

27,980

31,506

35,713

(2,978)

이란

10,075

11,364

12,729

13,938

14,991

16,169

17,361

(1,135)

스페인

2,965

4,231

5,753

7,753

9,191

11,178

13,716

(598)

독일

2,369

3,062

3,795

4,838

6,012

9,257

12,327

(28)

프랑스

2,876

3,661

4,499

5,423

6,633

7,730

9,134

(244)

미국

1,663

2,034

2,726

3,244

4,464

6,233

7,769

(118)

스위스

858

1,125

1,189

1,563

2,200

2,650

3,003

(21)

총 국가 수

110개국

114개국

123개국

130개국

137개국

141개국

143개국

 

총 환자 수

125,234

134,405

144,283

156,296

170,177

185,989

205,274

총 사망자 수

4,884

5,316

5,665

6,388

6,990

7,779

8,637

(2020년 3월 19일 자료, 출처 질병관리본부)

전 세계의 코로나19 총 누적 확진자 발생수는 205,274명으로 20만명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총 사망자수는 8,637명으로 1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사망하고 있는 무서운 상황이네요. 특히나, 초기 중국의 모습을 보며 굉장히 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현재는 이탈리아 코로나 상황이 더욱 심각해 보이고 있습니다. 누적 확진환자 수에 비해 높은 사망자 수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사망자수는 곧 중국과 비슷하거나, 계속 증가한다면 보다 늘어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코로나 바이러스로 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각 국의 한국 교민들에 대한 소식들 중 전세기 투입관련 청원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 청원에 대해 네티즌들의 갑론을박이 예상되네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밀라노 전세기로 검색한 뉴스 결과. 출처 다음 뉴스.

우한, 이란 등 정부의 전세기를 활용한 교민들의 군내 이송이 시작된 바 있습니다. 이에, 이탈리아 밀라노에 관련해서도 전세기를 보내달라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와 있는 상황인데요.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이 심각한 상황에 봉착하면서 이탈리아는 국가 봉쇄, 레드존 지정등으로 인해 국내 이동도 제한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80%까지 높은 감염률을 예상하기도 한다고 하며, 코로나 장기화 전망등이 나오면 더욱 국내외 이동은 어려울 것이 뻔한 일이 될 것입니다. 반면, 현 국내 상황도 좋은 상황은 아니긴 합니다. 이제 가까스로 대규모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감소세를 만들어가고 있는 상황임에 분명하며, 정부와 의료진 및 실무진 그리고 일반시민(남녀노소) 모두의 노력으로 이같은 결실을 맺어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이죠. 그런 상황에서 해외 여행을 간 사람들 및 한국이 싫어 떠난 사람들등의 국외 사람들 보다 국내 사람을 우선 챙겨야 한다는 이야기고 나오고 있습니다. 더욱이 코로나 전파양상이 변화하면서 중국이 이아닌 유럽에서의 확진자 유입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지요. 

---------------------------<<청원내용 확인하러 가기>>---------------------------

밀라노 전세기 관련 청원. 출처 국민 청원 게시판.


▶코로나 전파양상 변화?!.◀

이제 조금 코로나에 대한 대처와 방역, 생활에 대한 규칙등 보편화되어가고 있는 느낌이 드는데요. 이런상황에서 가장 두려운 단어는 '코로나' + '변화' 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전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라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중국의 연구진이 발견하여 발표한 내용으로, L형과 S형이 존재하여, 조금씩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가장 큰 특징은 스텔스능력 즉,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게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물론, 이에 대한 대책도 계속적으로 마련되고 있을테죠. 저의 단순한 개인적 느낌이지만 역시나 현 상황에서 코로나와 관련된 변화의 내용은 걱정이 되는 소식이 아닐까요. 코로나 전파양상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 앞서 언급했듯 국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양상과 대처도 변화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출처 pixabay

  1. 처음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국 우한이라는 지역에 대한 접촉자를 가려내어 방비하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소식이 우한에서 들려오면서, 해외 여행 이력과 우한 방문이력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역에 대한 핵심은 해외이력, 우한방문 및 기존 확진자와의 접촉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었습니다.
  2. 2월 18일 이후 국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큰 변화를 가지고 옵니다. 아직까지 모든 의혹이 밝혀지진 않았지요. 조만간 밝혀지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어쨌든, 특정 종교 단체로부터 시작된 슈퍼전파는 대구와 경북 지방의 곳곳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국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양상은 중국, 우한에서 국내의 대구 경북으로 부터의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이게 되는 상황이 왔습니다.
  3. 그렇게 전국적인 방역과 핵심지역인 대구 경북 지역의 방역 대책으로 이제는 그 확산세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었는데요. 다시금 우려되는 부분이 생깁니다.
  4. 소규모 집단감염 및 해외를 다녀온 국내 귀국하는 사람들에 의한 확산의 형태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이죠. 특히 수도권에서의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 현황은 시작단계일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면서, 다시금 방역에 대한 면밀한 준비와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5. 소규모 집단감염은 개인의 노력으로 어느정도 막을 수 있지 않을까요. 모임, 행사 활동은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지않나 생각해 봅니다. 특히, 수도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종교행사에 대한 우려는 다시금 발생될 슈퍼전파에대 대한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 코로나 전파양상에 대한 일각의 우려는 현재까지는 우려되는 상황이란 생각이 들며, 변화되는 모습은 당연할 것입니다. 물론, 국내에서 발생되는 소규모 집단감염 사례들은 안타까움을 낳고 있는데요. 자유는 모든 국민이 당연히 누려야할 권리임에 분명합니다. 하지만, 자유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지는것이 민주주의, 법치주의가 아닌지요. 타인에게 피해를 가한다면 이는 자유를 떠난 문제되는 행동이 아닐까 생각하는데, 현 시점에서의 집단 모임 행사는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를 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을텐데, 조금만 더 뒤로 미루면 안되는 것일까요. 어쨌든 변해가는 코로나 전파양상에 맞게 철저한 방역이 필요할 듯 합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한 내용이라고 생각하시면, 하단의 "공감.💖",을 부탁드려요.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댓글